DeepSeek Shock 2025 : AI 패권 전쟁의 서막

AI 대전환! 딥시크가 몰고 올 글로벌 혁신과 위기 

중국발 '스푸트니크 모멘트'가 온다

 

AI 패권 경쟁, ‘AI 팍스 아메리카나’를 넘다

AI 산업의 판도가 다시 흔들리고 있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기존 AI 모델과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으로 GPT-4급 성능을 구현해 내며, 글로벌 AI 시장에 거대한 충격을 던졌기 때문입니다. AI 기술은 오랫동안 미국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이번 딥시크 등장은 AI 패권 전쟁이 본격적으로 다극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딥시크 ‘R1’ 모델은 기존 AI 개발 비용의 1/10 수준으로 GPT-4에 맞 먹는 성능을 구현하며,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특히, MoE(Mixture of Experts)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연산 최적화강화학습을 통한 데이터 비용 절감 전략은 AI 업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법은 글로벌 AI 패권 경쟁을 가속화시키며, AI 기술의 소유권과 활용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DeepSeek Shock: AI 패권 전쟁의 서막’은 AI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는 딥시크의 기술적, 산업적, 정책적 영향과 판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AI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기업 및 국가의 대응 전략 그리고 AI 생태계가 향후 어떻게 재편될 것인지를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입니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기존 GPT-4, Gemini와 어떻게 다른가?

AI 개발 비용 절감의 핵심 기술은 무엇인가?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한국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AI 생태계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 것인가?

 

이제 AI 기술과 시장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어,  이번 콘퍼런스가 AI를 둘러싼 모든 생태계에 AI 산업의 향후 변화에 대한 인사이트와 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중요한 장이 될 것입니다. AI 패권 경쟁의 한복판에서 위기를 회피하고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강사소개
  • 이경일 대표

    솔트룩스

  • 김정호 교수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 유용균 실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공지능응용연구실

  • 손병희 연구소장

    마음AI

  • 오세진 대표

  • 이충현 대표

    페블스퀘어

  • 허훈 테크 그룹 리더

    라이너

  • 김지수 LLM팀장

    올거나이즈

  • 김성훈 팀장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행사개요
DeepSeek Shock 2025 : AI 패권 전쟁의 서막
2025년 03월 06일 (목) 10:00 ~ 17:20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컨퍼런스룸 402호(4층)'
AI와 유관하고 AI에 관심 있는 모든 기업, 단체, 기관, 개인 등
선착순 200명
사전등록 : 187,000원(3명 이상 20%할인)
현장등록 : 220,000원
(VAT포함)

전자신문

사전등록마감 : 2025년 03월 05일 (수) 18:00
프로그램
09:30~10:00Registration
Keynote Speech
10:00~10:40AI 에이전트, 판을 뒤집다

딥시크는 거대언어모델의 경제성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전환기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경제성 있는 AI 모델들이 지능적으로 협업하는 에이전트 시대가 시작되며, 새로운 AI 패권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모델을 넘어 스스로 학습하고, 결정을 내리고, 협력하는 능동적인 지능체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업무 방식, 서비스 모델, 나아가 글로벌 AI 시장의 주도권 경쟁까지 뒤흔들고 있습니다. 과연 딥시크 쇼크 이후 AI 에이전트는 어디까지 진화할 것이며, 우리는 어떻게 이 거대한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을까요? 이번 키노트에서 AI 에이전트가 만들어갈 새로운 판과, 이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
10:40~11:20DeepSeek 'R1' 모델 경쟁력 분석과 AI 반도체 시장의 가속화

DeeSeek R1 모델은 논리 추론 능력을 가진 개방형 모델입니다. 특히 CoT, MoE, RGPO 강화학습과 Distillation 기술이 담겨져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Distillation 기술을 사용해서 경량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핵심 기술을 설명하고 이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의 조건에 대해서 논의합니다. 그리고 DeeSeek는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정보, 데이터, 코드를 개방했는가에 대해서 논의합니다. 여기에 더해 AI 시장에 가해진 충격과 효과에 대해서 추가로 토론합니다. 마지막으로 확대되는 AI 반도체 기술과 시장에 대해서 예측해 보고, 특히 GPU-HBM 구조의 미래를 제시합니다.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
11:20~12:00DeepSeek의 의미와 Agentic AI

- 거대언어모델의 발달: 사전학습, 사후학습, 테스트 단계 추론
- 오픈소스 진영의 발전과 DeepSeek '충격'
- 원자력 분야의 지능형 에이전트 활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유용균 실장
12:00~13:00Lunch Time
Strategy
13:00~13:40AI는 누가 소유할 것인가? 온프레미스 시대의 시작

AI 기술은 이제 단순한 연구를 넘어 글로벌 패권을 결정짓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AI와 온프레미스 AI의 대결 속에서, 온프레미스 AI는 데이터 보안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더욱 강력한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Maum AI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DeepSeek 기반의 온프레미스 AI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기업과 공공기관이 AI 기술을 소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AI를 단순히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소유하고 최적화해야 합니다. AI 패권 전쟁이 본격화된 지금,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마음AI
손병희 연구소장
13:40~14:20DeepSeek 쇼크, 초거대 AI의 학습과 추론을 위한 최적의 인프라 구성은?

DeepSeek가 공개한 오픈소스 버전 추론 모델 DeepSeek-R1은 생성형 AI의 미래가 단순한 계산력을 통한 확장이라는 기존 패러다임이 아닌, 비용 효율성 중심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핵심 경쟁력임을 부각시킨 사례입니다. AI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비용 효율성을 고려한 인프라 구성과 플랫폼을 통한 AI 서비스 생산성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세진 대표
14:20~15:00초경량 LLM을 위한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 In-Memory Computing 기반의 혁신적 접근

최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과 활용이 확대되면서, 높은 연산 성능과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동시에 만족하는 AI 반도체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경량 LLM(sLLM) 및 경량화된 AI 모델들이 엣지 및 모바일 환경에서도 실시간 추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설계를 위한 핵심 기술 및 연구개발 방향을 소개합니다. 특히, In-Memory Computing(IMC) 기반 AI 반도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메모리 병목 문제를 극복하고, 연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블스퀘어
이충현 대표
15:00~15:15Coffee Break
Innovation
15:15~15:55에이전틱 서치(Agentic Search): 추론 모델과 사용자 기대치의 교차점

생성형 AI의 대중화로 인한 검색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선 에이전틱 검색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OpenAI의 o1 모델을 필두로 한 추론 모델의 진화는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라이너가 DeepSeek R1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있는 에이전틱 서치의 아키텍처와 비전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라이너
허훈 테크 그룹 리더
15:55~16:35DeepSeek-R1과 주요 LLM 비교 분석: 추론 모델 R1의 현재 위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과 추론 능력의 중요성 그리고 DeepSeek-R1 모델 등장과 의의
-수학적 문제 해결, 논리적 추론, 코딩 등에서의 성능 평가 및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분석: DeepSeek-R1의 강점과 약점
-모델 훈련 및 추론 시의 비용 분석과 다른 LLM과의 비용 대비 성능 비교: DeepSeek-R1의 경제적 이점 평가
-DeepSeek-R1의 등장이 AI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및 향후 AI 모델 개발과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
-추론 능력 중심의 모델 개발 트렌드 분석
-다른 LLM과의 비교를 통한 종합적 평가 및 추론 모델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

올거나이즈
김지수 LLM팀장
16:35~17:15딥시크(DeepSeek) 보안 동향 및 시사점

딥시크에서 논문을 통해 자사의 AI 모델(DeepSeek R1)이 타 모델(GPT-4o, OpenAI-o1 등) 대비 저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개발하였다는 발표로 글로벌 이슈화가 되고 있는 한편, 글로벌 보안 기업, 언론 등에서 딥시크사의 AI 모델에 대한 보안 위협과 개인정보 유출 등의 발생을 우려함에 따라, 이에 대한 글로벌 정책 및 보안 위협 등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김성훈 팀장
17:15~17:20Wrap-up & Way Forward

※ 프로그램은 주최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등록신청안내
참가대상 AI와 유관하고 AI에 관심 있는 모든 기업, 단체, 기관, 개인 등

행사장소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컨퍼런스룸 402호(4층)'

등록비

※ 조기등록: 143,000원(VAT포함) / 2월 14일(금) 18:00까지 등록 시

※ 사전등록: 187,000원(VAT포함)

※ 현장등록: 220,000원(VAT포함)

 기타안내기타안내

- 본 행사는 점심 식사 및 주차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 발표자료집은 제공되지 않으며, 강연자의 공개가능한 자료에 한해 행사 당일 PDF로 제공합니다.

 기타안내사전등록 마감 2025년 2월 24일(월) 18:00
 기타안내결제방법 카드결제(법인카드 가능), 온라인 입금
 기타안내입금계좌 우리은행 687-106662-13-001 (예금주 : (주)전자신문사)
-온라인 송금 시 업체명 명기 바라며, 입금 후 전화 확인 부탁 드립니다.

등록 및

참석확인증

문의

등록에 문제가 있거나 참석확인증이 필요한 경우, 아래 담당자에게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신문 정보사업국 김현경 대리

-Tel. 02-2168-9338  eMail. khk3611@etnews.com

행사문의

전자신문 정보사업국 김태형 부국장

Tel. 02-2168-9643  eMail. gent@etnews.com

찾아오시는길

■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컨퍼런스룸 402호(4층)'

    -  삼성역 5, 6번 출구와 직접 연결된 통로로 진입, 밀레니엄 광장을 통하여 스타필드 코엑스몰로 진입 

   * 주차 지원은 불가하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상기 정보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호반파크 1관, 9층 정보사업국

행사문의 : 02-2168-9338  대표전화 : 02-2168-9200 ㅣ   회사명 : (주)전자신문사   |  대표자명 : 강병준  |  사업자 등록번호 : 547-86-02501

Copyright  © The Electronic Times Co., Ltd. All Rights Reserved.